본문 바로가기
단도직입 파이썬(Python) 기초 – 3 자료형(list, tuple) 오늘은 Python의 자료형 중 리스트(list), 튜플(tuple) 대해 알아봅니다. 문자형이나 숫자형 자료형 보다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당연하게도 계속 마주하다 보면 익숙해질 일입니다. 리스트… 뭘까요? 가장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하나의 아파트에 호수(index)를 부여해서 여러 가구(value)가 들어갈 수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호수만 부여하거나 동과 호수를 부여하거나 단지 번호, 동, 호수를 부여하거나(인덱스의 다중화)… 이해되시나요? 저도 첨엔 어렵더군요.-,.-;; A = [ ‘abc’, 123, ’def’, 456 ] 란 명령어가 입력되면, 예를 들어 “A”란 아파트 1호에 ‘abc’, 2호에 123, 3호에 ‘def’, 4호에 456을 입력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제가 이해한 리스트, 튜플.. 2021. 12. 15.
단도직입 파이썬(Python) 기초 – 2 자료형(숫자형, 문자형) 오늘은 Python의 자료형에 대해 알아봅니다. 자료형의 종류로는 숫자,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변수 등 여러 가지 중에서 숫자형과 문자열에 대해 알아봅니다. 굳이 외우거나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자주 접하다 보면 조금씩 익숙해지더군요. 코딩하다 에러 발생하면 다시 찾아보게 되고, 고치고, 이렇게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지더군요. 숫자형 자료형 항목 유형 사용법 정수형 123, -456, 0 >>> a = 123 >>> a = -456 >>> a = 0 실수형 1.23, -45.6 >>> a = 1.23 >>> a = -45.6 8진수, 16진수도 있지만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냥 갈게요~! 사칙연산은 +,-,/,*과 제곱(**), 나눈 후 몫을 반환하.. 2021. 12. 15.
단도직입 파이썬(Python) 기초 – 1 기초 문법 우리가 누군가와 대화할 때나 노트에 필기할 때! 숫자나 문자를 구분을 해가며 이야기하거나 필기해 본 적이 있나요? 우리끼리는 1,2,3, … A, B, C라 읽거나 쓰면 어디까지 문자이고 어디까지 숫자인지 바로 파악 가능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가 배우고자 하는 언어(Computer Language)는 문자, 숫자를 분명히 구분해야 알아듣습니다. 예를 들어 숫자형 1+1의 결괏값은 당연히 2로 알려주지만 문자형 ’1’+’1’는 문자형 ‘11’로 결괏값을 알려줍니다.(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 어떤 컴퓨터 언어든지 처음 코딩을 시작하면 제일 어색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바로 자료형! 그리고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기호들로 채워진 각 언어의 문법입니다. 그나마 파이썬은 타 언어에 비해 문법과 자료.. 2021. 12. 15.
파이썬(Python) 초보의 코딩 배우기 오늘로써 파이썬을 접한 지 일주일 남짓! 저로서는 새로운 코딩 세계를 보게 된 날이라고 감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런 제 말에 분명 공감하실 분도 계시리라 믿습니다. 이십 수년 전 제가 처음 컴퓨터를 배울 때만 하더라도 GW-Basic 이란 아주 기초적인 대화형 언어(Interpreted Language)로 코딩을 시작했습니다. 당시에는 GW-Basic --> Fortran --> COBOL 그다음 C/C++ 순으로 배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당시 코딩 학습 순서 국룰이었죠. 1. GW-Basic : 대화형 코딩의 대표적인 언어! 지금의 Python 고조 할배 쯤 되려나요? 패쓰. 2. Fortran : 수식 계산을 주 목적으로 사용된 언어 3. COBOL : 사무용 프로그래밍을 주 목적으로 만든 언어 .. 2021. 12. 15.